CLASS

과제 ORM을 이용하여 SNS의 게시글 추가/수정/삭제 에 대한 로직을 완성하시오 초기화 및 설정 # 필요한 모듈 및 클래스 가져오기 from sqlalchemy import create_engine, MetaData from sqlalchemy.schema import Table, Column, ForeignKey from sqlalchemy.types import Integer, Text from sqlalchemy.sql import select, insert, update, delete, join, func from sqlalchemy.orm import declarative_base # ORM을 위한 기본 클래스 from sqlalchemy.orm import sessionmaker # 세션 관..
과제 나만의 Pytorch cheatsheet만들기. 수업시간의 자료/키워드를 바탕으로 조사, 재정리하여 Torch.Tensor와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다 Torch Tensor 본 후기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주관하는 과정 학습/프로젝트/과제 기록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과제 GAN 실습 과제 입니다. 활성화 함수를 바꾸어서 실행해 보세요 코드 실습 과제용 코드 링크 : https://github.com/07LEE/AI-web-development-AI/blob/main/230904/Number1.ipynb ReakyReLU RELU 본 후기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주관하는 과정 학습/프로젝트/과제 기록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습 서버 오류 이번주의 경우 실습을 진행하며, 해당 내용에 대해 정리하려고 하였는데 서버가 터져서 실습을 해볼 수 없었다. 9월 3일 기준으로 서버가 복구되어 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해졌다. AIDU AIDU는 AICE를 위한 AI 실습 플랫폼입니다. AICE 플랫폼 내에서 Web 기반으로 별도의 설치 없이 사용자에게 편리한 AI 실습환경을 제공합니다. 강의의 내용은 AICE ez 활용법과 실습 3가지로 이루어져있었다. 활용법의 경우 강의를 수강신청하지 않아도 아래의 링크에 접속하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https://aice.study/front/edus/PACKAGE/detail/000000105 AICE KT가 개발하여 한국경제신문과 함께 주관하는 인공지능 능력시험입니다. aice.study 해당..
과제 (9월 1일 금요일 17:50)추후에 공지해 주신다고 하셨다. (9월 2일 토요일 18:05) 과제를 공지해주시지 않으셨다. (9월 2일 토요일 18:10) 과제를 받았다. 패션 인공지능 실습 과제입니다. 한번 따라서 코딩 해보기 바랍니다. 패션 인공지능 한번 쭉 살펴보았을때, 교수님께서 제공해 주신 코드는 패션 분류 모델을 만들기 위한 코드로 보였다. 패션을 분류하는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데이터를 로드하고 환경 설정을 진행하였다. 설정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 import keras # 재현성을 위한 난수 시드 설정 tf.keras.utils.set_random_seed(42) # 연산 결정론적 모드 활성화 tf.config.experimental.e..
과제 Keras에 대해 조사하세요 (Keras의 정의, Keras의 종류) Keras란 https://keras.io/ Keras: Deep Learning for humans A superpower for developers. The purpose of Keras is to give an unfair advantage to any developer looking to ship Machine Learning-powered apps. Keras focuses on debugging speed, code elegance & conciseness, maintainability, and deployability. When you cho keras.io 케라스는 파이썬으로 작성된 오픈 소스 신경망 라이브러리이다...
과제 인공지능에서 원-핫-인코딩에 대해 조사하세요. 원핫인코딩(One-Hot Encoding) 원핫인코딩(One-Hot Encoding)은 데이터를 0과 1값으로 구별하는 방법으로 범주형 데이터를 다루는 데에 중요한 기술이다. 이를 통해 컴퓨터가 텍스트와 같은 범주형 데이터를 숫자로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며, 범주형 변수를 이진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변수 내 각 카테고리를 고유한 열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활용 이유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주로 수치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텍스트나 범주형 데이터와 같이 수치가 아닌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를 수치 형태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 때 원핫인코딩은 아주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범주형 데이터 처리: 범주형 데이터는 순서가 ..
과제 파이썬 코드의 문법을 정리하세요. 자료형 문자형 str = "hellow, world" print(str) # hellow, world 정수형 print(7) #7 print(-7) #-7 실수형 print(3.14) #3.14 print(-3.14) #-3.14 boolean (참/거짓) print(3>4) #False print(34)) # True 연산 연산자 print(1+1) #2 print(2-1) #1 print(5*3) #15 print(int(4/2)) #2 print(2**2) #2^2=4 print(3**4) #3^4=81 print(7%5) #나머지:2 print(5//2) #몫:2 print(5%2) #나머지:1 print(1>3) #False print(12) and (2>..
활성화 함수 하이퍼볼릭탄젠트 함수 (Hyperbolic Tangent) 값이 작은 신호를 -1에 가까운 숫자로 바꾸어 내보냄. 시그모이드를 사용하여 출력값이 0에 가까워지면 신경망이 잘 학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함. 하이퍼 볼릭탄젠트는 0이 아닌 -1의 값을 출력하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렐루 함수 (ReLU) Rectified와 Linear Unit의 결합 입력값이 0보다 작으면 0으로 내보내고, 0보다 클 경우 입력받는 값을 출력해 준다.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킬 때 활성함수로 주로 사용됨. 입력값이 음수일 경우 출력값이 0으로 같다는 단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Leaky ReLU라는 함수 또한 새롭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소프트맥스 함수 (Softmax) 최종 결과값을 정규화하는 데 ..
07LEE
'CLASS' 카테고리의 글 목록